티스토리 뷰
여러명과 함께 있는데 누군가가 무엇을 얘기했습니다. 그 내용이 특별한 것이 아니며, 제대로 듣고 이해 하고 수긍한다면 별 문제가 없었을 텐데, 들은 것 같은데 정확하게 알아 들은 것 같지 않은 찝찝함이 들 때에는 되물어 보는 것이 좋겠죠. 정확히 듣기는 했는데 도저히 믿기지 않고 쉽게 받아들이기 어렵다면 이런 경우 또한 되물어 보곤 합니다. 아래는 상대방이 했던 말을 다시 확인하려고 되물어 보는 표현입니다.
Anger : Did he just say we couldn't have dessert!「웨잇! 딛히 저슷쎄이 위쿠든햅 디젓!」
방금 후식 없다고 한 거야?
'Did he just say' 부분만 먼저 본다면, 일반동사의 과거형을 물어보기 위해 조동사 'Did'가 젤 앞에 나와서 일반동사 과거 의문문을 시작합니다. 일반동사 과거 의문문은 'Did + 주어 + 일반동사의 원형'의 순서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어는 3인칭 단수 'he'이고, 동사는 'say'가 왔습니다.
그 다음에 나와야 하는 것이 바로 무엇이라고 얘기했었는지 그 내용을 물어봐야겠죠. 내용은 단순하게 단어 일 수도 있겠지만 짧지만 문장일 수도 있겠습니다. 문장일 경우는 명사절이 와야 할텐데요. 'that' 이하 '주어 + 동사'가 따라오겠습니다. 'that'은 위 문장에서는 생략되어 있네요. 그래서 '조동사(과거) + 주어 + (부사) + 동사 + 주어 + 조동사(과거 부정) + 동사' 순서라고해서 당황해서는 안 되겠습니다.
주어는 나를 포함한 여러명 1인칭 복수 'we'이며 전체 문장에서 조동사가 과거시제를 나타냈으므로 'can'이 아니라 'could'이 왔습니다. 'not'을 붙여서 부정으로 표현했죠. 여기서는 '허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허락되지 않음을 나타냈습니다. 대표적으로 '가지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have'는 다양한 의미와 형태로 활동(?)하고 있는데요. 여기서는 '먹다'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무엇을 먹는지는 마지막으로 온 명사 'dessert'를 통해서 '후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후식을 먹을 수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는 전체적인 문장의 주어인 'he'에게 달려있어서, 'We couldn't have dessert.' 우리는 후식을 먹을 수 없다라고 말했는지 'Did he just say' 되물어보는 문장입니다.
위는 인사이드 아웃 2015, Inside out에 나오는 대사입니다. 더 많은 표현은 아래 글자를 누르시면 이동합니다.
인사이드 아웃 2015, Inside out
영화 Movie Film 映画
'공부해요 > 영어와 뽀시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뭐 하는 사람인지 잘 모르겠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르겠지만 (0) | 2022.05.02 |
---|---|
영어, 그렇게 나오시겠다? 그런 식으로 나온다 이거지? (0) | 2022.05.02 |
영어, 고맙지? (0) | 2022.04.20 |
영어, 내가 방금 너흴 구해줬어, 내가 방금 너희들을 살렸어 (0) | 2022.04.20 |
영어, 저게 뭐지? 뭐야? (0) | 2022.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