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탁음 vs 반탁음 vs 요음 vs 촉음_1'에서 서론을 했다며, 이제 본격적인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탁음은 특정 글자에 우리말로치먼 큰 따옴표 같은 것이 붙어 있는 것을 말합니다. 平仮名에서 あ단의 がざだば는 가자다바라고 읽고, い단의 ぎじぢび는 기지지비, う단의 ぐずづぶ는 구주주부, え단의 げぜでべ는 게제데베, お단의 ごぞどぼ는 고조도보로 읽습니다. 片仮名에서 あ단의 ガザダバ는 가자다바라고 읽고, い단의 ギジヂビ는 기지지비, う단의 グズヅブ는 구주주부, え단의 ゲゼデベ는 게제데베, お단의 ゴゾドボ는 고조도보라고 읽습니다.

  반탁음은 일본어 끝에 다는 마침표 모양。처럼 생긴것이 탁음의 큰따옴표 모양이 위치한 곳에 붙어져 있는 것을 말합니다. 탁음은 5개 밖에 없습니다.  平仮名먼저 보면, ぱ 파, ぴ 피, ぷ 푸, ぺ 페, ぽ 포라고 읽고, 片仮名는 パ 파, ピ 피, プ 푸, ペ 페, ポ 포라고 읽고 씁니다. 그렇습니다. 당연히 히라가나, 가타가나 다 알아야합니다. 일본에 유명한 배우이자 가수인, 한때 우리나라 SS501이었던 김현중이 절정이었을때 닮았다고 난리났었던, 일본에서 전절석인, 백년에 한 번 나올까말까 한다던 연습생이었던 야마시타토히사(やましたともひさ/山下智久)의 애칭인 야마삐에 사용되는 글자이기도 합니다. 사실 야마삐는 山ピー라고 적는데, 나중에 놀란 사실은 그 삐ぴ가 P라는 사실이었습니다.

 요음은 やゆよ/ヤユヨ 글자 세개가 작아져서 다른 글자 뒤에 와서 모음 '야, 유, 요'로 발을 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먼저, 平仮名로 보면 や에서 きゃ, ぎゃ, しゃ, じゃ, ちゃ, ぢゃ, にゃ, まや, ひゃ, びゃ, りゃ, ゆ에서 きゅ, ぎゅ, しゅ, じゅ, ちゅ, ぢゅ, にゅ, みゅ,ひゅ, びゅ, りゅ, よ에서 きょ, ぎょ, しょ, じょ, ちょ, ぢょ, にょ, みょ, ひょ, びょ, りょ 이렇게 씁니다. 片仮名로 적으면 や에서 キャ, ギャ, シャ, ジャ, チャ, ヂャ, ニャ, ミャ, ヒャ, ビャ, リャ, ゆ에서 キュ, ギュ, シュ, ジュ, チュ, ヂュ, ニュ, ミュ, ヒュ, ビュ, リュ, よ에서 キョ, ギョ, ショ, ジョ, チョ, ヂョ, ニョ, ミョ, ヒョ, ビョ, リョ라고 씁니다. 읽을 때는 야단은 캬, 갸, 샤, 쟈, 챠, 쟈, 냐, 먀, 햐, 뱌, 랴, 유단은 큐, 규, 슈, 쥬, 츄,쥬, 뉴, 뮤, 휴, 뷰, 류, 요단은 쿄, 교, 쇼, 죠, 쵸, 죠, 뇨, 묘, 효, 뵤, 료라고 읽습니다.

 촉음은 つ가 요음처럼 작아져서 다른 글자 뒤에 붙어서 발음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본에는 받침이 거의 없는데 촉음은 ㄷ받침을 한다고 생각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촉음은 거의 모든 글자 뒤에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촉음은 예시만 몇개 들어보겠습니다. 잠깐 기다려 주세요. ちょっとまってください。ちょっと待ってください。좃도맛떼구다사이라고 합니다. ちょ까지는 요음입니다. 그 요음 상태에서 ちょっ 촉음이 들어간 것입니다. 발음을 적으면 조금 민망할 수도 있습니다. 약속을 지켜주세요.  やくそくをまもってください。約束を守ってください。야(ㄲ)소꾸오 마못떼 구다사이라고 합니다. も뒤에 촉음이 들어가서 못もっ이 되었습니다. 

  일본어 알고보니 기본적인 글자만 해도 엄청난데, 거기에 탁음, 반탁음, 요음, 촉음까지 외워야 한다니, 엄청납니다. '어렵다! 안할래'라고 좌절하지 마시고, 계속 공부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익혀지니 말입니다. 한자를 배우기 전까지는 다 괜찮습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