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누구에게나 무언가를 시작할 때에는 처음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초짜'라고 표현할 수 있는 이 시점은 경험도 없고, 요령도 없고, 하는 방법조차 아는 것이 별로 없기 때문에 매우 서툴고, 어색하고, 실수 연발에, 쉽게 말해서 못하는 티가 팍팍나는 시기입니다. 태어날 때부터 뭔가에 대해 전문적인 능력과 지식을 가진 사람은 없으니까요. 단지 그 분야에 타고난 재능이 있어 남들 10번을 할 때 한 번에 익히는 사람들이 있을 뿐, 그 외의 보통 사람들에게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경험이 쌓이고, 요령도 생기고, 어쩌다보니 전문가가 되어 있더라는 것이죠. 중간의 과정을 생략하고 막 시작했을 때 잠시 만났고, 시간이 많이 흐른 후에 능숙해졌을 때 다시 만난다면 그가 오랜시간 노력했던 것들을 보지 못했으니 갑자기 늘어난 것만 같은 실력에 놀랄수도 있겠습니다.
Brienne : Sir Jaime.「썰 제이미.」
제이미 경.
Jaime : Lady Brienne.「레이디 브뤼엔.」
브리엔 아가씨.
Jaime : He’s come a long way.「히즈 커머 롱웨이.」
출세했군.
제이미(Jamie)의 마지막 대사 살펴보겠습니다. 주어는 청자도 화자도 아닌 제3자이고 남자를 가리키는 'He'가 왔습니다. 위 대화 속에서 '그는' 제이미(Jaime)와 티리온(Tyrion)이 브리엔(Brienne)에게 붙여준 남자 몸종입니다. 'He’s come'에서 'He’s'는 'He + is' 아니면 'He + has'가 합체된 축약형입니다. 'Come'이라는 단어는 원형이 'come', 과거형이 'came', 과거분사가 'come'의 형태인 'A-B-A'로 변환하는 동사인데요. 동사원형 아니면 과거분사일텐데, 이미 주어에 동사가 철썩 달라 붙어(?)있니다. 그렇다면 과거분사 'come'이 되겠죠. 'He is come'이냐 'He has come'이냐, '수동태'이냐 '현재완료'이냐의 문제가 되겠습니다.
'He’s come은 'He has come'으로 '현재완료'입니다. 'A long way'는 '훨씬' 또는 '먼 길'을 뜻하기도 하는데요. 먼 길을 열심히, 부지런히 걸어 왔다면 지금은 그 전보다 더 나은 상태 혹은 더 좋은 결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겠죠. 그래서 '많은 진전을 보았다', '매우 발전하다', '많은 발전을 하다', '크게 발전하다', '많은 진전을 보이다', '성공하다', '많이 컸네', '성장 했네', '여기까지 먼 길 왔네' 등의 의미가 있습니다. 막 몸좀이 되었을 때는 검 하나 못 잡던 그가 몇 년을 보지 못한 사이에 환골탈태(換骨奪胎)하고 어엿한 무사? 검사? 군인?이 되었으니 먼 길을 간 것이 맞고, 많은 발전이 있었던 것도 맞고, 어쩌면 성공한 것도 맞는 말이 되겠습니다.
위는 왕좌의 게임 시즌 8 2화, Game of Thrones Season 8 Episode 2에 나오는 대사입니다. 더 많은 표현은 아래 글자를 누르시면 이동합니다.
왕좌의 게임 시즌 8 1화, Game of Thrones Season 8 Episode 2_ㄷ
'공부해요 > 영어와 뽀시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한 번 더, 어서 (0) | 2024.01.23 |
---|---|
영어, 괜찮아, 괜찮아졌어 (0) | 2024.01.22 |
영어, 조준, 서두르지 말고, 앞으로, 어서 (0) | 2024.01.20 |
영어, 볼 수 있을 거야. (0) | 2024.01.19 |
영어, 어쩌면 내가 죽은 후에... 내가 죽은 후엔 아마도... (0) | 2024.01.18 |